연준 9월에 금리 0.25% p 인하 전망
연준 9월에 금리 0.25%p 인하 전망에 대해 본 글에서 살펴보려고 합니다.
금리 인하 전망
월가 전문가
블룸버그 설문
블룸버그 설문은 10명 중 7명은 "美 경제 연착륙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월가 전문가 다수는 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가 시장 기대와 달리 긴급 금리인하에 나서거나, 9월 회의 때 0.5% 포인트 이상 큰 폭의 금리인하에 나서지 않으리라고 내다본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습니다.
블룸버그 통신은 지난 6~8일 경제 전문가 51명을 상대로 설문조사 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4분의 3은 연준이 오는 9월 17~18일 통화정책회의 후 기준금리를 현 5.25~5.50%에서 5.00~5.25%로 0.25% 포인트 인하할 것이라고 내다보았습니다.
연준이 0.5%포인트 이상 금리를 내릴 것이라고 내다본 전문가는 1/4 수준에서 그쳤습니다.
또한 연준이 9월 정례회의 이전 긴급 금리인하에 나설 확률은 10%에 그치는 것으로 집계가 되었습니다.
고용시장 냉각
미국의 예상 밖 고용시장 냉각과 엔화에 기반한 '캐리 트레이드' 투자금 회수 여파로 지난 5일 글로벌 금융시장이 충격을 받은 뒤에 연준이 긴급 금리인하 또는 '빅컷'(0.50% 포인트 금리인하)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진 바 있습니다.
JP모건체이스, 시티그룹 등의 주요 금융회사들도 연준이 9월 회의에서 빅컷에 나설 것이라고 전망을 수정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다수 시장 전문가는 연준이 시장 요구에 부응해 적극적인 행보에 나설 것이란 데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 것입니다.
설문 대상 전문가
특히나 설문 대상 전문가의 46%는 연준이 정례회의 전 긴급 인하에 나설 경우 회사채 시장 마비나 유동성 문제 등의 금융시장에 부작용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았습니다.
옥스퍼드 이코노믹스의 라이언 스위트 미국경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시장의 대폭 금리인하 요구에 대해 "과장된 자동반사적 반응"이라며 "역사적으로 볼 때 연준은 경제에 명확한 부정적인 충격이 가해지거나 경제지표가 급격히 나빠진 경우에만 긴급 인하 또는 0.25%포인트를 넘는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라고 말을 하였습니다.
정리
한편 현재 미국 노동시장 상황에 대해서는 설문 대상자의 60%가 여전히 건조하지만 다소 약화했다고 평가를 하였고, 24%는 노동시장이 뚜렷하게 약화했지만 안정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답을 하였습니다.
뚜렷한 고용 악화가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한 전문가는 16%에 그쳤습니다.
미 경제 전망에 대해서는 69%가 연착률에 성공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미 경제가 경기침체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한 전문가는 22%였고, 나머지는 연준이 신속하고 공격적으로 대응에 나설 경우 연착륙이 예상된다고 답을 하였습니다.